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무원 정보/급여 및 수당9

2025년 공무원 초과근무수당(직급별 단가) 안녕하세요.2025년 초과근무수당 궁금하신 분들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2025년 공무원 보수지침이 개정되었는데 직종별, 직급별 초과근무 수당 어떤지 확인해보겠습니다. ※ 야간 및 휴일 수당은 하단 사진 참고  2025년 공무원 초과근무수당- 5급 : 시간외 15,510원- 6급 : 시간외 13,229원- 7급 : 시간외 11,950원- 8급 : 시간외 10,729원- 9급 : 시간외 10,579원  - 가군 : 시간외 15,773원- 나군 : 시간외 12,523원- 다군 : 시간외 10,986원 - 1급 : 시간외 18,140원- 2급 : 시간외 16,995원- 3급 : 시간외 15,848원- 4급 : 시간외 14,818원- 5급 : 시간외 14,011원- 6급 : 시간외 13,229원- 7급 : 시간외.. 2025. 1. 31.
2025년 공무원 보수 등 변경사항(월급, 육아휴직수당, 위험근무수당, 민원수당 등) 안녕하세요2025년 공무원보수규정 및 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이 개정되었죠2025년에는 어떻게 변화하는지, 보수는 얼마나 오르는 지 확인해보겠습니다.   1. 2025년 공무원 보수     가장 큰 변화는 전체 공무원 보수가 전년 대비 3.0% 인상됩니다.특히 상대적으로 급여가 낮은 저연차 실무 공무원에 대한 보수가 추가 인상되었습니다. 이에 9급 1호봉 봉급액은 전년 대비 6.6%인상 되었습니다.→ 9급 1호봉 보수 : 공통인상분 3% + 추가 인상분 3.6% 보도자료에 따르면 이러한 추가 개선을 통해 2025년 9급 1호봉 보수는 연 3,222만원(월 평균 269만원) 수준이 될 거라고 발표했습니다.2024년 3,010만원 대비 7%정도 인상되었다고 하네요.               아래는 2025.. 2025. 1. 12.
[봉급표] 2025년 공무원 월급 2025년 공무원 보수규정이 개정되면서 봉급표가 확정되었습니다.2025년 봉급 얼마나 받을지 확인해보겠습니다. 2025. 1. 4.
[연가보상비] 연가보상비의 계절. 직급별 연가보상비 공무원 연가보상비의 계절입니다.1년 중 남은 연가를 보상해서 연가보상비로 받을 수 있는데요. 본 포스팅에서 연가보상비에 대해알아보겠습니다.   공무원 연가보상비    - 공무원, 고공단 공무원 등 - 제외 : 교육공무원, 공중보건의사, 병역판정검사전담의사, 공중방역수의사, 공익법무관, 재외공무원, 국외파견공무원, 직권면직, 해임 및 파면된 공무원 등   부처별 권장연가일수에 해당하는 연가일수에 대해서는 연가보상비를 지급하지 아니할 수 있습니다.기관별 권장연가일수를 지정하고, 권장연가일수를 충족하지 못하면 해당 연가는 보상되지 않고 소멸됩니다.    연가보상비는 6월 30일과 12월 31일 기준으로 지급할 수 있습니다.연가 활성화를 위해 6월 30일에 연가보상비를 지급하지 않고 12월 31일  연 1회만 .. 2024. 12. 24.
공무원 출장비 상향! 2023년부터 달라지는 공무원 여비 안녕하세요. 2023. 3. 2.부터 여비규정이 개정되어 시행됩니다. 변경된 여비규정 간단하게 확인해 보겠습니다. 이번 공무원 여비규정에서 변경된 부분은 일비와 식비, 숙박비 상향입니다. 숙박비, 식비 등 물가 수준에 맞추어 국내여비 지급 기준을 상향하는 것을 사유로 밝혔는데요. 바뀐 출장비는 다음과 같습니다. 공무원 여비규정 별표 2의 국내여비 지급표입니다. 기존 일비의 경우 제1호, 제2호 모두 20,000원이었지만 모두 25,000원으로 상향되었습니다. 다만 근무지 내 출장여비(일비 포함)는 종전과 동일합니다. 식비 역시 상향되었는데요. 제2호 식비 당초 20,000원이었는데 25,000원으로 올랐습니다. 숙박비도 상향된 걸 알 수 있습니다. 제2호 숙박비의 경우 서울 70,000원, 광역시 60,.. 2023. 4. 28.
[연가보상비] 나는 얼마 받을까? 2022년 연가보상비 정리 안녕하세요. 한 해의 마무리입니다. 12월에는 연가보상비가 있는 달인데요. 연가보상비는 1년 중 남은 연가를 수당으로 보상해주는 제도인데요. 물론 기관마다 연가보상비를 주는 곳도 있고 아예 없는 곳도 있고 일부만 주는 곳도 있기 때문에 본인이 속한 기관의 연가보상비 보상일수를 확인해야 합니다. 또, 기관마다 권장연가일수가 정해져 있기도 하는데요. 이럴 경우 권장 연가일수에 해당하는 연가는 써야 하는 연가이기 때문에 보상비에 제외됩니다. 기관마다 정해진 권장연가일수와 보상일수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오늘 포스팅은 연가보상비 계산에 대한 내용을 주로 작성하겠습니다. 1. 연가보상비 지급대상 연가보상비 지급대상은 1급 이하 공무원, 고위공무원, 12등급 이하 외무공무원 및 이에 상당하는 공무원, 1급 이하 공.. 2022. 12. 6.
반응형